신년음식 떡국이란
신년음식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음식은 아마도 떡국일 것입니다. 떡국은 가래떡을 살짝 굳힌 후 얇게 썰어 육수나 물에 끓이는 전통요리로서 온 가족이 새해 아침에 한 식탁에 둘러앉아 새해를 맞는 특별한 한국의 전통음식입니다. 떡국의 의미와 역사 속에 등장하는 떡국, 만드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떡국의 기원은 조선시대부터 먹었다는 문헌이 존재합니다. 떡국은 조선 중기부터 설날에 먹던 음식으로 당시에는 지금과 유사한 방법으로 떡국을 즐기던 형태로 존재했습니다. 떡국은 새해아침에 먹으며 한 살을 더 먹는다는 의미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화는 조선시대에 자리 잡았고 이후 명절이면 떡국을 먹는 것으로 자리 잡게 됩니다. 떡국은 단지 새해아침에만 먹는 것이 아니라 중요행사등에도 자주 먹게 되었습니다. 제사음식이나 차례를 지낼 때 또는 집안의 행사에도 잔칫상에 등장하게 됩니다. 떡국은 지방마다 다양하게 변화되어 왔습니다. 지역에서 재배되는 곡물과 특산품에 형태에 따라 달라졌는데 서울은 고기육수를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떡국이라면, 전라도지방에서는 떡국에 해산물을 넣고 떡국을 만들어 먹었습니다. 경상도지방에서는 멸치로 육수를 만들어 즐겼으며, 강원도지방에서는 감자떡을 이용한 떡국을 먹었고, 고기가 귀했던 제주도에서는 돼지고기를 이용하였습니다. 이처럼 떡국은 지역특징에 맞게 다양하게 변화되었습니다. 현대에 와서 떡국은 더욱 다양하게 진화합니다. 전통적인 방식의 소고기로 국물을 끓이는 대신 닭고기나 채소를 바탕으로 한 육수를 사용하는 경우도 늘어났는데 이것은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함입니다. 떡국에 가래떡만을 넣어 즐기던 문화에서 만두, 김치, 각종 해산물등을 넣어 다양하게 즐기며, 건강한 재료를 사용한 웰빙음식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습니다. 또한 일부 전통요리를 조리하는 사람들에게 비난을 받는 부분도 존재합니다. 떡국에 치즈와 함께 더불어 각종 외국향신료와 재료들을 넣어 새로운 형태의 요리로 변형하여 즐기는데 전통요리 전문가로서는 떡국의 명맥을 잃을까 걱정하는 모습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통을 유지하면서 발전시킨다면 올바른 한국의 문화가 전달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역사 속의 떡국
떡국은 우리나라의 역사적 문헌에서도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합니다. 조선시대 문신 홍석모가 지은 동국세시기라는 책에서는 조선시대의 명절풍속을 기록한 책으로서 설날아침에 떡국을 먹는 모습과 한 해의 시작에 한 살을 먹는다는 의미가 있다고 서술되어 있습니다. 또한 만드는 방법 등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가래떡을 얇게 썰어 고기육수와 끓여 먹었다는 내용과 떡국위에 각종 고명으로 어떤 것을 사용하였는지 등을 서술하였는데 지금의 떡국과 다르지 않았습니다. 규합총서라는 조선시대 가정생활과 요리에 대한 내용을 정리한 책에서도 떡국이 등장합니다. 여기서도 소고기육수를 사용하는 방법과 계란지단, 김 등을 첨가하는 내용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 책은 조선시대 우리 선조들의 음식문화를 다양하게 엿볼 수 있는 책으로서 중요한 자료입니다. 다른 문헌으로 임원경제지라는 책에서도 떡국에 대해서 언급된 내용들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문헌 외에도 고전소설 속에서도 떡국은 다양하게 등장하는데 조선시대 대표적인 소설 홍길동전에서는 설날아침에 가족홍길동이 가족과 함께 떡국을 먹는 모습이 그려지고 있습니다. 또 다른 유명 소설인 춘향전에서도 등장하는데 춘향과 이몽룡이 설날 아침을 맞이하여 떡국을 먹으며 명절을 기념하는 모습이 나타나는데 춘향전에서 떡국이 등장하는 장면은 단순히 식사장면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명절을 이용하여 두 사람의 각별한 사랑을 나타내는 장면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이몽룡과 춘향이 떡국을 먹으며 대화를 나누게 되는데 이런 장면은 떡국은 단순히 하나의 음식이 아니라 관계를 이어주는 매개체 역할을 해주고 있습니다. 사씨남정기에서도 떡국은 등장합니다. 조선후기의 작가 김만중의 소설로 조선후기의 가정생활과 명절풍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앞서 말한 소설과 마찬가지로 설날 떡국을 먹는 장면이 나오는데 떡국이 우리 민족에게 중요한 소통의 매개체인지 보여주고 있습니다. 사씨남정기에서 떡국을 먹으며 새해를 맞는 모습은 가정의 화목함을 중시하는 우리 문화를 엿볼 수 있으며, 단란함 또한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렇듯 떡국은 명절음식의 한 가지가 아니라 가족과 연인 간의 유대관계를 강화하는 음식으로서 우리 전통문화에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는 음식입니다.
만드는 법
떡국을 만드는 방법은 역사문헌이나 소설에 나온 방법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 전통요리라 불리는 것입니다. 전통정인 떡국을 만드는 방법은 상당히 간단해 보이지만 많은 정성과 준비가 필요합니다. 살짝 굳힌 가래떡을 얇게 썰어 준비하고 소고기를 우려낸 육수를 준비합니다. 이때 들어가는 소고기의 부위는 양지머리나 사태를 준비해서 뜨거운 물에 끓이고, 불순물을 지속적으로 걷어내며 맑은 상태의 육수를 준비합니다. 맑은 육수가 준비되면 끓는 육수에 썰어놓은 떡국을 넣고 떡이 완전히 익을 동안 국간장과 소금등으로 간을 합니다. 다 끓었으면 고명으로 준비한 계란지단과 김, 참깨, 쪽파등을 올려서 김치나 동치미와 함께 상에 올려 내놓습니다. 간단한 주의사항으로 소고기육수를 만들 때 충분히 삶아 불순물을 제거하고 깊은 맛이 나도록 오래 끓이는 것이고, 떡을 넣을 때 뭉치지 않도록 잘 저어가며 끓이고 너무 익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드는 법은 라면 끓이는 것처럼 단순하지만 뽀얗게 우러난 국물은 깊고 풍부한 맛을 내고 있습니다. 떡국은 지역과 그 지역에서 나는 특산물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합니다. 서울지방에 소고기를 육수로 만든 떡국이 기본적이지만, 바지락과 오징어, 미더덕등을 넣어 칼국수와 같은 시원한 맛을 내는 떡국도 있고, 김치와 돼지고기를 넣어 장칼국수와 같은 맛을 내는 떡국등도 있습니다. 흔히 맛볼 수 있는 변형된 떡국은 일반떡국에 고기만두를 넣어 같이 끓인 떡만둣국이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하게 변화하는 떡국은 쉽게 질리지 않고 즐길 수 있는 방법이 됩니다. 또한 떡국에 다양한 채소 등을 추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버섯과 청경채, 배추, 두부 등을 넣어 다양한 영양소를 추가하거나, 고춧가루를 넣어 매콤하게 즐기는 방법도 존재합니다. 최근 웰빙열풍으로 인하여 탄수화물이 기본인 떡국을 변화하는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쌀로 만든 가래떡대신 현미를 넣은 떡을 사용하거나 저염식단을 기본으로 하는 떡국, 채소육수를 사용한 비건떡국등 다양한 떡국등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떡국의 변신은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외국인에게도 사랑받는 음식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